220620 도대체 TIL을 왜 쓰는거야?
·
성장이야기/TIL
지금까지 TIL을 위한 TIL을 쓴게 아닌가? 지금까지 TIL을 7번 정도 github사이트에 올렸는데 TIL을 쓰는 게 아직까지 너무 힘들고 부담이 된다. 워낙 글 쓰는 거를 싫어했기 때문에 글을 많이 써보지 않았고, 그래서 내가 느끼는 감정들을 글로 표현하는 게 쉽지가 않다. 지금도 이 두 문장을 쓰는데 20분이 걸렸다. (이게 맞아!????) 남들한테는 두 문장 쓰는데 20분이나 걸린다는 게 말이 안 된다고 생각될 수 있다. 사실 어떻게 써야 하지? 하는 생각만 20분 동안 하고 있었다. 그만큼 나는 글 쓰는 거를 못하고 싫어한다. 그래서 TIL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왜 써야 하는지도 명확지 않다. 나는 하루 중 TIL 쓰는 시간이 제일 힘들고, 시간이 제일 많이 간다. 그래서 지금도 ..
메가테라 6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6주차 회고 메가테라 6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모르는데 왜 질문을 하지 않지? 나는 질문을 많이 하는가..? 아니다.. 나는 어려서부터 궁금한 게 있어도 질문을 잘하지 않았다. 어려서부터 질문을 잘 하지 않았던 이유를 지금 생각해보면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내가 하는 질문이 가치(?)가 없다? 적절한 질문인가? 라는 생각, 남들 다 아는 내용을 나만 모르고 있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 내가 궁금한 걸 질문으로 물어보기가 어려워서 등등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성인이 된 지금까지 질문을 어려워한다. 질문한다는 건 내가 모르는 거, 즉 나의 부족함을 남들에게 드러내야 한다는 뜻인데 남에게 나의 부족함을 드러내기란 쉽지가 않다. 사실 지금까지 메가테라 과정을 진행하면서도 트레이..
메가테라 5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5주차 회고 메가테라 5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이해와 암기는 친구 이번 주는 "transaction"이라는 단어가 나를 괴롭혔다. 영어단어에 괴로움을 느낀 적은 오랜만이다. transaction에게 고통을 받은 이유는 Makao Bank라는 프로그램을 만들 때 transaction이 너무 많이 사용되어서 엄청나게 헷갈렸다. 이 사진은 Makao Bank 프로그램의 일부 코드인데 이 사진에서만 봐도 transaction이 눈에 띄게 많다. 실제 코드에서 사용되는 transaction은 셀 수 없이 많다. 그래서 이 transaction과 저 transaction 그리고 복수형 transaction"s", 결과값 transactionResult 등등 transaction을..
메가테라 4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4주차 회고 메가테라 4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코딩 도장 월~목 9시부터 1시간 정도 코딩 테스트를 한다. 3주 차까지는 코딩 테스트 문제를 어찌저찌 1시간 안에 풀었었는데 4주차 와서는 시간 안에 풀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특히 4주 차의 월요일 첫 코딩 테스트 문제였던 "셀프넘버"는 나의 발목을 3일이나 잡았다. 셀프넘버 문제를 처음 봤을 때 문제 설명을 읽는데도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문제를 이해하는데만 10분이 걸렸다. 심지어 완벽히 이해하지 못해서 노트에 "이 경우에는 셀프넘버고 이 경우에는 셀프넘버가 아님" 이런 식으로 옆에다 적어놓고 문제를 풀었다. 결국 1시간 안에 풀지 못하고 찝찝한 상태로 정규 시간을 보내야 했다. 성격이 뭔가 해결하지 ..
메가테라 3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3주차 회고 메가테라 3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별과의 전쟁 이번 주 주간 과제의 문제들은 별들과의 전쟁이었다. 입력받은 수 만큼 별문자("*")를 이용해서 삼각형과 마름모를 출력하는 문제가 주간과제에 있었다. 삼각형 문제를 처음 마주했을 때는 "반복문을 통해 별을 일정 수 만큼 늘려서 출력하면 되겠다" 생각하고 접근을 했지만, 생각대로 되지 않았다. 별만 출력하면 삼각형 모양이 자동으로 나올 줄 알았지만 공백도 내가 출력해줘야 삼각형 모양이 나오는 걸 뒤늦게 깨달았다. 공백은 줄어들고 별은 늘어나는 패턴을 발견하니 문제를 풀 수 있었다. 삼각형 문제를 풀고 마름모 문제를 봤을때는 "삼각형을 출력하고 나서 삼각형 출력한 것을 반대로 역삼각형으로 출력하면 되겠다"라는 생각으..
CSS
·
CSS
💡CSS(Cascading Style Sheets) css는 웹페이지를 꾸미려고 작성하는 코드이다. css도 html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다 css는 style sheet 언어인데, HTML 문서에 있는 요소들에 선택적으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 css selector css 선택자 : 선택을 해주는 요소이다. 특정 요소를 선택하여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 p { font-size: 1em; color:blue; } 여기서 p가 선택자이다. selector(선택자)의 종류 1. 전체 선택자 * { box-sizing: boder-box; // 모든 영역에 box-sizing을 boder-box로 적용 } * (전체 선택자)는 모든 요소에 같은 css를 적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페이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