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929 TIL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
성장이야기/TIL
오후에 과제를 진행하던 중 홀맨님이 지금 시점에서는 세션과 쿠키의 차이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보고 나는 쿠키와 세션을 명확히 알고 있는지 잠시 생각을 해봤는데 아무래도 아닌 것 같다고 판단이 되어 쿠키와 세션에 대해 알아보려 했다. 그런데 내일 안에 과제를 마무리하는 게 목표라 과제를 하는 것을 잠시 멈추고 쿠키와 세션을 바로 공부하는 게 맞는 건지 과제를 다 하고 알아보는 게 맞는 건지 잠시 고민을 했지만, 며칠 전 노아님이 이제는 과제 제출에 중점이 되어서는 안 되고, 과제 제출하는 것은 기본이고 실력을 쌓는 게 중점이 되어야 한다는 말씀을 해주신 게 생각이 나서 하고 있던 과제를 잠시 멈추고 바로 쿠키와 세션을 찾아봤다. cookie 쿠키란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220928 TIL 풀스택 개발자로 가는 길
·
성장이야기/TIL
백엔드와 프론트엔드의 경계 매번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독립적으로 배워서 이 둘의 경계가 어디인지 왜 나눠서 사용하는지 정말 애매했었다. 리액트만으로도 투두리스트나 마카오 뱅크가 만들어지고 스프링만으로도 만들어지는데 왜 나눠서 사용할까...? 이런 궁금증은 항상 갖고 있었다. 이번 주에 둘을 같이 사용하여 마카오 뱅크를 만들어 보면서 그 경계를 조금이나마 허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번 주 강의만 봤을 때는 이 둘을 어떻게 연결시키는 건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았었는데 오늘 직접 해봄으로써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다. 입력 폼에 대한 예외처리를 하는 것을 직접 해봤는데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아 헤매고 있었다. 백엔드에서 입력하는 폼에 대한 조건을 따져서 조건에 맞지 않으면 예외 메시지..
220927 TIL 놀랍다..! Pageable
·
성장이야기/TIL
오늘은 마카오 뱅크의 거래내역 조회 기능을 구현하다 pagination을 아주 간단하게 구현하는 유용한 기술을 발견했다. pagination은 게시판 같은 데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개념이다. 게시글의 수가 특정 개수를 넘어가면 다음 페이지를 클릭해서 이동이 가능하게 해주게 하는 것을 pagination이라고 하는데 이전 과제에서 이 pagination을 구현해야 했던 적이 있다. 어려서부터 컴퓨터를 사용할 때 특정 게시글수가 넘어가면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여겨져 왔던 사실이라 이것도 프로그래밍해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과제로 주어지고 막상 만들려고 하니까 너무 어렵게 느껴졌었고 구현하기 위해 조건식 막 만들고 엄청 고생했던 기억이 난다. 근데 그 고생을 왜 ..
220926 TIL 책은 미리미리 읽자
·
성장이야기/TIL
드디어 드러난 마카오 뱅크의 실체 오늘은 드디어 마카오 뱅크의 최종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때까지 배운 것을 총동원하여 마카오 뱅크 웹페이지를 만드는 게 최종 과제이다. 약 4달 전 마카오 뱅크를 처음 본 뒤 마카오 뱅크는 끝까지 함께한다던 트레이너님의 말을 듣고 충격을 받았었는데 드디어!! 마카오 뱅크의 실체를 볼 수 있었다. 몰아서 보지 말고 미리 읽자 주어진 마카오 뱅크 과제를 다 만들려면 이번 주 아주 빠듯하게 작업을 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그 와중에 스스로 약속한 게 있다. 바로 TDD책을 하루에 한 챕터씩 읽는 것이다. 원래 저번 주 주말에 TDD 스터디에 참가해야 했는데 참석하지 못했다. 이유는 토요일 저녁이 되어도 주말 강의를 1번도 다 보지 못했고 TDD책 읽어야 하는 ..
220925 TIL 구멍이 송송
·
성장이야기/TIL
오늘 하루 강의를 보면서 가장 많이 느꼈던 것은 내가 놓치고 넘어간 것들이 많다는 것이었다. 놓친 개념들이 많다 보니 복습하는 주간임에도 불구하고 새로 학습하는 기분이 들었다. 오늘 중점적으로 공부를 했던 부분은 mock을 이용한 테스트와 axios테스트 부분이다. 이전에 axios를 테스트하는 부분을 처음 배웠을 때 너무 어려워서 이해하지 못하고 강의에서 나온 형태 자체를 외우고 사용을 했었기 때문에 오늘 그 부분을 다루는 강의를 중점으로 봤다. 그리고 스프링에서 mock객체를 이용해서 테스트하는 부분도 이때까지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개념 정리하면서 깨달았다. 가짜 API 서버를 만들어서 테스트하는게 아직도 익숙하지 않아서 할 때마다 애를 먹고 있었는데 이번에 MSW라는..
220924 TIL 당황하지마 언제나 쉬운건 없었어
·
성장이야기/TIL
오늘 아침에는 평소 주말에 일어나는 시간보다 눈이 일찍 떠져서 일어난 김에 어떤 강의가 올라왔는지 확인만 하고 조금만 더 자려고 했지만 강의 페이지를 보자마자 잠이 확 깨버렸다. 꿈을 꾸고 있는 건지... 눈이 안 좋아져서 강의가 여러 개로 보이는 건지 강의 리스트가 어마 무시했다. 총정리 주간이라 어느 정도 양이 있을 거라고는 생각했지만 이 정도일 줄을 상상도 못 했다.. 하지만 이제는 한 주가 지날수록 배우는 양이나 난이도가 급상승하는 건 익숙해져 있던 터라 당황하지 않고 (사실 오늘은 많이 당황하긴 했는데..) 자리에서 일어나 강의를 볼 준비를 했다. 평소에는 주말에 강의를 시간 분배를 하면서 계획적으로 보는 편이었는데 오늘은 그럴 여유도 없이 강의를 바로 보기 시작했다. 총 정리 주간이라서 완전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