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019 TIL Python의 Django
·
성장이야기/TIL
2022년 10월 TIOBE Index사이트 기준 프로그래밍 언어 순위 1등인 python의 웹 프레임워크인 Django에 대해 알아봤다. 어떤 언어로 웹 사이트 개발을 해야 할지 검색을 해보면 python이 빠지는 곳이 없을 정도로 인기가 많다. 그리고 개발자가 맨 처음 작성하는 코드인 Hello, world를 나는 파이썬으로 작성했다. python을 학교 동아리에서 잠깐 배운적이 있어 정말 새로운 언어는 아니지만 이미 자바에 지배된 몸이라 python은 잊혀진지 오래다. Python python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그리고 인터프리터 언어이며 변수의 타입을 지정해주지 않아도 되는 동적언어이다. 인터프리터란,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 코드를 바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환경을 말합니다..
221018 TIL PHP 탐구하기
·
성장이야기/TIL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지 검색을 해보면 대표적으로 PHP가 나온다. 프로그래밍을 처음에 시작할 때 아무것도 모르던 시절에 PHP를 어디선가 얼핏 들어본 것 같은 기억이 있는데 그 PHP를 오늘 알아봤다. PHP(Hypertext Preprocessor) PHP는 대표적인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로 웹 개발에 적합하며 HTML에 내장될 수 있는 언어이다. 여기서 말하는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는 웹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 언어 중 서버 사이드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컴파일이 필요가 없는)를 말한다. PHP는 동적인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설계 되었고 Html안에 코드가 포함되어 다른 개발언어보다 빠른 개발 속도를 보여줄 수 있다. PHP코드 예제 그리고 동적 언어이기 때..
221017 TIL 만들고 싶은걸 만들자 (돌돌축)
·
성장이야기/TIL
프로젝트 기획 3일 차에 드디어 어떤 주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할지 정해졌다. 사실 어제 결정했던 당근 마켓의 기능에 실시간 경매 기능을 더한 서비스로 진행하려 했었지만 오늘 성수 코딩 도장에 와서 기획하던 중 동료 한 분이 그래도 2달간 진행하는 건데 본인이 재밌고 관심 있는 걸로 진행하는 게 좋지 않겠냐는 말과 아이디어를 몇 개 던져주셔서 축구 관련 커뮤니티를 다시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돌고 돌아 축구로.. 노아님께서 축구 커뮤니티를 만들 거면 게시판이 팀별로 존재하고 그 팀 안의 선수별로도 게시판이 존재해서 선수가 이적하면 그 선수 게시판은 사라지고 누군가 새로 오면 새로운 선수의 게시판이 새로 생기는 식의 동적인 게시판 정도는 만들어야 한다고 말씀해주셨다. 그런 복잡도를 가진 게시판의 대표적인 예로..
221014 TIL 테스트기간동안 키운 메타인지 능력
·
성장이야기/TIL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았던 2주간의 레벨테스트가 드디어 끝났다. 이전 8주 차 당시 3주 차로 이월을 크게 하고 나니까 이번 레벨테스트를 시작하기 전부터 레벨테스트에 대한 부담감은 가중되어 있는 상태였다. 이전과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싶지 않아 열심히 하는 것은 물론이고 내가 개발에서 사용하는 코드 중 모르는 게 나오면 직접 찾아보고 정리하면서 실험도 해보는 힘들지만 재미있었던 레벨테스트 기간이었다. 레벨테스트가 끝나고 이제는 개인 프로젝트에 들어간다는 말을 들었을 때는 왠지 모를 설렘 반 두려움 반이었다. 레벨테스트를 진행하면서 내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대강 짐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실력으로 개인 프로젝트를 잘 만들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테스트 기간 동안 느낀 건데 서비스 같..
221013 TIL @RequestBody vs @ModelAttribute
·
성장이야기/TIL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에 대해 알아보던 중 @ModelAttribute도 @RequestBody와 같이 client에서 보낸 데이터를 자바 객체로 변환시켜서 자바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똑같은 역할을 하는 것 같은데 어느 경우에는 @ModelAttribute를 쓰고 어떤 경우에는 @RequestBody를 사용하는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ModelAttribute와 @RequestBody와의 차이점을 알아봤다. @ModelAttribute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은 client가 보내는 HTTP parameter를 자바 객체에 바인딩하는 역할을 한다. form형태의 데이터나 url뒤에 붙어서 오는 쿼리 스트링 형태(/user? name=j..
221012 TIL 내 서비스는 믿을만한가?
·
성장이야기/TIL
오늘도 테스트 코드를 열심히 작성하던 중 초반에 비해 생각보다 테스트 코드를 많이 작성했다고 생각했었는데 동료의 테스트 코드 개수를 들어보니 다 작성하지 않았는데도 50개가 넘는다고 하셨다.. 잉??? 난 테스트를 다 작성한 것 같은데도 30개가 겨우 넘었는데 50개나..?? 분명 같은 웹페이지를 만드는데 테스트 케이스가 한 두개 차이가 아니라 무려 20개가 넘게 차이가 난다는 건 내가 빼먹고 하지 않은 테스트들이 존재한다는 거고 그 말은 테스트로 검증된 서비스가 아닌데도 완성되었다고 착각하고 있었다는 소리다. 그래서 다시 작성하지 않은 테스트들이 있는지 확인을 하는데 역시나 예외 케이스에 대한 테스트나 초반에 모킹에 대한 어려움 때문에 하지 않았던 테스트들이 존재한 것을 확인했다. 우선 예외케이스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