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924 TIL 당황하지마 언제나 쉬운건 없었어
·
성장이야기/TIL
오늘 아침에는 평소 주말에 일어나는 시간보다 눈이 일찍 떠져서 일어난 김에 어떤 강의가 올라왔는지 확인만 하고 조금만 더 자려고 했지만 강의 페이지를 보자마자 잠이 확 깨버렸다. 꿈을 꾸고 있는 건지... 눈이 안 좋아져서 강의가 여러 개로 보이는 건지 강의 리스트가 어마 무시했다. 총정리 주간이라 어느 정도 양이 있을 거라고는 생각했지만 이 정도일 줄을 상상도 못 했다.. 하지만 이제는 한 주가 지날수록 배우는 양이나 난이도가 급상승하는 건 익숙해져 있던 터라 당황하지 않고 (사실 오늘은 많이 당황하긴 했는데..) 자리에서 일어나 강의를 볼 준비를 했다. 평소에는 주말에 강의를 시간 분배를 하면서 계획적으로 보는 편이었는데 오늘은 그럴 여유도 없이 강의를 바로 보기 시작했다. 총 정리 주간이라서 완전히..
220923 TIL 자신감을 갖자
·
성장이야기/TIL
코딩 인터뷰 시간에 받은 지적 중 하나가 말할 때 너무 자신감이 없다는 것이다. 질문에 대해 답을 할 때 내가 맞는 답을 말하는지 확신을 갖지 못하니까 쭈굴이 모드로 변해서 자신감 없는 모습이 나왔던 것 같다. 내가 말하는 게 맞든 틀리든 자신감 있게 대답을 하는게 중요하다고 말씀을 해주셨다. 피드백을 받은 이후에 다음 질문은 맞든 틀리든 최대한 자신감 있게 내가 생각하는걸 말을 하니까 조금 괜찮아졌다는 말씀을 해주셨고 스스로도 쭈굴이 모드로 말하던 때랑 달라졌다는 걸 체감할 수 있었다. 내 차례가 끝나고 이전부터 글을 잘 쓰신다고 생각했던 동료분이 인터뷰하시는 걸 보는데 확실히 나와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동료분이 인터뷰하는 걸 보면 나와 달리 질문에 대한 답과 상관없이 말을 하실때 목소리에 힘이 들어..
메가테라 13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13주 차 회고 메가 테라 13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내가 아는 리액트는 리액트가 아니었다.. 이번 주는 저번 주의 연장선인 리액트를 이어서 배웠다. 저번 주에 리액트를 배우고 마카오 페이라는 퀘스트를 만들면서 재미있었기 때문에 이번 주도 재밌는 한 주가 되겠구나 생각을 했다. 하지만 3번째 강의를 접한순간부터 내가 저번 주에 배웠던 리액트는 장난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api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테스트할 때 mock을 이용해 테스트하는 여러 가지 방법, Flux Architecture의 store개념, Pub-Sub 패턴의 구독하는 이유와 구독을 끊는 이유 등등 이해하기 어려웠던 개념들이 넘쳐났고, 그 개념을 바로 적용해서 간단한 게시판을 만드는데 그 과정이 ..
220922 TIL 소리를 들려줘..
·
성장이야기/TIL
월요일에 뽀그로 타이머 퀘스트를 보고 기본적인 요구사항조차 완성시킬 수 있을지 의문을 가진채 시작을 했는데 오늘 드디어 작동을 하는 타이머를 겨우 만들었다. 하지만 아직 끝난 게 아니다.... 진짜 어떻게든 작동하는 게 목표였기 때문에 코드가 개판인 게 내 눈에도 보인다... 그리고 나만의 기능도 만들어야 하고, 타이머 시간이 끝나면 알림음도 나게 해야 하는데 오디오가 들어가지 않는다... 시간이 딱 지나면 오디오가 재생이 돼야 하는데 재생이 되지 않고 밑에 에러가 나온다. Uncaught (in promise) DOMException: The element has no supported sources. 위의 에러 메시지를 구글링 해서 나오는 해결방법들을 여러 가지 시도를 해봤지만 소득이 없었다. 1. ..
220921 TIL 목표는 완성하기
·
성장이야기/TIL
뽀그로 타이머 과제 리뷰 중 useState로 상태 값을 관리하던 것을 store에서 관리해야 한다는 리뷰를 받았다. 즉 Flux Architecture를 직접 적용해야 할 때가 왔다는 뜻이다. 이번 주 강의를 들으면서 가장 이해가 안 되고 어려웠던 Flux Architecture.... 그리고 추가로 구독이라는 개념이 나오면서 Pub-Sub패턴도 배웠는데 이것 또한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일단 내가 지금까지 내가 이해한 Flux Architecture에 대해 먼저 정리해보자. Flux Architecture 우선 Flux Architecture는 MVC패턴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아키텍처라고 한다. MVC패턴은 데이터 흐름이 양방향이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의 복잡도가 높아 확장하기가 어렵다. 반..
220920 TIL JUST DO IT!
·
성장이야기/TIL
일단 하자 어제 퀘스트를 거의 진행하지 못했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몰랐고, 어떻게 저 기능을 구현해야 하지?라는 막막함이 아무것도 진행할 수 없게 만들었다. 그래서 어제는 강의를 한 번 더 듣는 시간을 가졌지만 오늘은 나름 퀘스트 진행이 되고 있다. 어제 강의를 한 번 더 들었다고 오늘 퀘스트를 어떻게 할지 감이 잡힌 건 아니었다. 하지만 어제와 오늘의 나의 차이는 오늘도 아무것도 못한 채 생각만 한다면 큰일 날것 같아서 일단 시작하는 거였다. 어제처럼 전체적인 완성된 그림을 생각하고 어떻게 그려나가야 할지 방법을 먼저 생각하고 시작하는 게 아니라 진짜 작은 부분, 내가 만들 수 있는 부분부터 차근차근 하나씩 만들어 갔다. 차근차근 하나씩 만들다 보니 "아! 이것도 필요하겠다. 그러면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