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테라 23주차 주간회고 (프로젝트 7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23주 차 회고 (프로젝트 7주 차 회고) 메가 테라 23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7주 차 작업 목표 7주 차의 가장 큰 목표는 어드민 기능을 핵심적인 것부터 최대한 많이 구현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기존에 계획했던 게시판의 어드민 기능 중 가장 핵심적이고, 없으면 안 되는 기능 3가지를 뽑아 무조건 구현하도록 최우선 순위로 선정했다. 핵심적인 3가지 기능은 아래와 같다. 1. 전체 멤버 관리 전체 멤버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멤버의 등급을 변경할 수 있다. 멤버를 강제 탈퇴시킬 수 있다. 회원 정보(아이디, 닉네임, 등급, 게시글 작성 수, 댓글 작성 수)를 확인할 수 있다. 2. 게시판 관리 하위 게시판 생성 (3 depth) 게시판 삭제 3. 등업 신청 관리 등업 신청..
메가테라 22주차 주간회고 (프로젝트 6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22주 차 회고 (프로젝트 6주 차 회고) 메가 테라 22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6주 차 작업 목표 6주 차의 목표를 세울 때 평소보다 더 타이트하게 잡았다. 그 이유는 디자인 주를 제외하고 프로젝트 마감까지 2주가 남았었는데 또 한 주는 관리자 페이지를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6주 차 동안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능은 모두 완성해야 했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6주 차의 구체적인 작업 목표를 나열해봤다. 1. 마이 페이지(유저 정보 페이지)를 완성한다. 자신의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닉네임, 프로필 사진) 마이 페이지에서 자신이 작성한 게시글, 댓글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이 작성한 게시글, 댓글을 삭제할 수 있다. 자신이 좋아요를 누른 게시글을 확인 및 좋아요..
메가테라 21주차 주간회고 (프로젝트 5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21주 차 회고 (프로젝트 5주 차 회고) 메가 테라 21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5주 차 작업 목표 프로젝트 5주 차의 구체적인 작업 목표를 나열해봤다. 1. 사용자 스토리를 As - I - So 구조로 수정하고 수정된 사용자 스토리를 바탕으로 인수 테스트 작성하기 2. 자신이 작성한 게시글, 댓글, 대댓글만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로그인 기능 구현하기 3. 자신이 확인하고 싶은 리그의 경기 일정(오늘 경기, 선택한 날짜의 경기 일정)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4. 경기 시작 1시간 전 경기의 양 팀의 이전 기록과 전력을 비교할 수 있게 한다. 5. 사용자 정보 페이지를 구현해 해당 사용자가 작성한 글, 댓글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5주 차 작업 목표를 위와 같이..
메가테라 20주차 주간회고 (프로젝트 4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20주 차 회고 메가 테라 20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프로젝트 4주 차의 목표는 전체 게시판의 완성도를 높이고 게시판의 CRUD기능 구현하는 것과 월, 화에 아샬 님이 말씀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controller와 service를 리팩터링 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작업 계획을 세웠고 작업에 대한 결과이다. 최종적으로 HOT 게시판 구현을 하지 못해서 계획했던 작업들을 모두 하지 못했기 때문에 계획한 작업을 다 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 회고를 해보려고 한다. 우연의 산물 이번 주 계획한 작업을 모두 달성하지 못한 첫 번째 이유는 컨트롤러와 서비스를 리팩터링 하는 부분에서 생각했던 것보다 수정해야 하는 부분들이 많아서 기존에 계획했던 스토리 포인트의 2배를..
메가테라 19주차 주간회고 (프로젝트 3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19주 차 회고 메가 테라 19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리팩터링의 연속 이번 주는 객체 구조를 바꾸는 데 시간을 너무 많이 사용했다. 실제로 주중에 2번을 바꾸면서 좋아요 기능과 댓글 기능을 구현하는데 예상했던 스토리 포인트를 객체 구조를 바꾸는 데 사용을 해서 예상했던 것보다 오버되기도 했다. 모양이 이상하긴 한데 맨 처음 객체를 설계할 때 작성했던 것이다. post라는 게시글이 담고 있어야 할 정보들의 연관관계를 @ManyToOne과 @OneToMany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매핑했었는데 이 방식 말고 한 객체 안에서 다른 객체의 정보를 들고 있지 않고 자신이 갖고 있어야 할 갖고 기존에 갖고 있던 다른 객체들의 정보는 아이디 값만 갖는 방식으로 구조를 다시 바꿨다. po..
메가테라 18주차 주간회고 (프로젝트 2주차 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18주 차 회고 메가 테라 18주 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기획 끝 개발 시작 이번 주 월요일 시작은 저번 주 개발한 것을 바탕으로 깃허브의 프로젝트를 이용해 칸반 보드를 만들어 백로그를 쭉 작성했다. 사용자 스토리를 적고 그 사용자 스토리를 구현하기 위한 task들을 적어서 백로그 목록을 만들어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번 주에 실제로 깃허브 프로젝트에서 작성한 칸반 보드를 이용해 개발한 흔적 이번 주에 목표로 잡았던 개발 기능과 개발 시작 전 스토리 포인트 매겼던 것과 실제로 사용한 스토리 포인트 결과이다. 목표했던 기능들은 모두 구현했지만 스토리 포인트에서 어느 정도 오차가 났다. (그래도 생각보다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3포인트 정도 오차가 났는데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