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와 타입
·
Java
관심사의 분리 프로그램을 만들 때 관심사의 분리를 한다 관심사의 분리란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 때 각각의 부분들로 쪼갠 후 결합해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관심사의 분리의 여러가지 방법중 변수를 배워보자. 변수 변수(Variable)란 이름을 할당 받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한다. 변수의 선언방법 int(데이터 타입) age(변수이름); 데이터 타입의 종류 byte → 8 bits (1 byte) 정수형 short → 16 bits (2 bytes) 정수형 ⇒ 2^16 int → 32 bits (4 bytes) 정수형 Integer (정수) long → 64 bits (8 bytes) 정수형 float → 32 bits 부동소수점 (소수점의 위치가 왔다갔다 한다. ..
Hello, World
·
Java
프로젝트 생성하기 Intellj idea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java 프로그래밍을 한다. Hello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src폴더에 Hello라는 java파일을 생성한다. Java 프로그램을 만든다 = Java 소스 코드를 작성한다 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소스 코드(원시 코드)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한 텍스트 파일이다.(java 파일 (텍스트 파일)) 코드 public class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코드 의미 public → 공개된 static → 정적인 void → 반환값이 없는 main → 메인 String →..
메가테라 1주차 주간회고
·
성장이야기/주간회고
1주차 주간회고 메가테라 1주차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일을 종합해서 회고하였습니다. 논리를 만들어라 메가테라 과정을 시작한 지 일주일이 지났다. 시작하기 일주일 전부터 기다리던 과정이었기 때문에 1주차에는 본격적으로 코딩을 하기 전 먼저 컴퓨터를 이해하기 위한 공부를 했다. 사실 이때까지 개발자가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있어서 코딩만 잘하면 되지 라는 생각이 있었는데 정말 잘못된 생각이었다. 개발자가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가 컴퓨터인데 자기가 사용하는 도구에 대해서 알지도 못한다는 생각을 해보니 정말 어리석은 생각이었다. 메가테라의 첫 과제는 컴퓨터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정해진 예산으로 자신의 목적에 맞는 최적의 pc견적을 맞추는 것이었다. 처음 과제를 보고 들었던 생각은 "내가 pc의 견..
Git과 GitHub 이해하고 사용하기
·
Git
Git과 GitHub란? Git 로컬에서 관리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 git은 자신의 코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은 클라우드가 아닌 자신의 로컬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인터넷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GitHub 클라우드 방식으로 관리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 github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코드 공유가 가능해 협업이 가능하다. Git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그렇다면 git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개발하다 보면 프로그램의 버전을 관리를 해야 하는데 그때 git이 버전을 관리하는데 유용하다. 특정 시점의 버전의 기능을 다시 가져오거나, 복원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협업에 효과적이다. ..
M1칩의 성능이 압도적인 이유
·
컴퓨터 이해하기
M1이란? M1은 ARM기반의 SoC(System on Chip)으로 하나의 칩 안에 CPU, GPU, RAM, Neural Engine등 여러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칩입니다. (SoC는 이번에 새로 개발된 기술이 아니고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들은 이미 SoC로 구동되고있다. 근데 애플은 이 기술을 노트북에 구현을 한 점에서 대단하다고 느껴진다) ARM 아키텍처는 Advaced RISC Machine의 약자로 임베디드 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RISC 프로세스이다. 더보기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란 CPU 명령어의 개수를 줄여 명령어 해석시간을 줄임으로서 명령어 실행속도를 빠르게 한 방식 CPU : 4개의 고성능 코어(Firestorm) 4개의 고효율 코어(..
컴퓨터의 이해
·
컴퓨터 이해하기
아날로그와 디지털 아날로그(analog)란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변화해 가는 물리량을 나타낸 것을 말한다. 디지털(digital)은 연속적인 양을 단계적으로 잘라 숫자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주변 아날로그 예시 주변 디지털 예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점 디지털은 이산적(단속적),아날로그는 연속적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컴퓨터의 역사 1. 최초의 계산 장치 : 주판 계산을 하는 도구로 역사가 오래된 것은 주판이다. 기원전 26세기경 중국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2.파스칼의 계산기 1642년 파스칼이 톱니바퀴를 이용하여 덧셈과 뺄셈을 했다. 파스칼의 계산기는 전자식은 아니지만 세계 최초의 기계식 계산기라고 한다. 3.라이프니츠의 계산기 1671년 파스칼의 계산기를 개량하여 곱셈과 나눗셈도 가능한 계산기를 발명..